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고형 유기오염물질과 농업적 이용

전문가 제언
○ 런던협약 ‘96의정서 발효에 따라 하수슬러지의 해양배출기준이 대폭 강화되면서 2012년부터 제2기준 초과 하수슬러지의 해양배출이 전면 금지된다. 환경부에서는 2008년 5월 하수슬러지관리 종합대책에서 2011년 발생 가능한 하수슬러지의 양은 10,259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들 중 매립되는 양 (1.5%)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재활용(69.5%) 또는 소각처리(29%)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 미국 환경청은 가정하수와 산업폐수를 처리하고 하수슬러지(sewage sludge)를 소화 건조 퇴비화 석회안정화 열처리 등의 과정을 거친 슬러지를 바이오 고형물(Biosolids)이라 하여 미생물을 완전 제거하는 방식으로 처리된 경우 별도의 규제 없이 비료나 토지 개량용으로 쓸 수 있으며 이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제한적으로 비료나 토양개량제로 쓸 수 있게 처리되고 있으며 하수슬러지라는 어휘는 바이오 고형물이란 어휘로 많이 대체되고 있다.

○ 최근에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항생제가 몸에서 대사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는 비율이 최고 90%에 이르고 또 농업 분야에서도 동물 급식 과정에서의 배출, 양어장, 퇴비나 바이오고형물이 살포된 농경지에서 흘러드는 물 등 다양한 경로로 항생제가 수계 생태계의 먹이사슬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고 바이오고형물 생산 과정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 보다 높아지고 있다.

○ 이 논문은 유럽연합에서도 143,000가지의 화학약품이 산업용으로 등록되어 있고 바이오고형물에서 상당수를 찾아낼 수 있어 바이오고형물에서 새로운 유기오염물질의 검토와 바이오고형물의 농업적 이용을 위한 국제적 연구 우선순위를 평가한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하수슬러지의 발생량을 줄이고 슬러지의 에너지 화는 물론 농업적 이용에 의한 재활용을 위해서 바이오고형물로 개량된 토양으로부터 사람과 생태학적인 먹이사슬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Bradley O. Clarke, Stephen R. Smit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37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26~247
분석자
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