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단백질의 불량화 방지
- 전문가 제언
-
○ 국내에 중국 산 불량 식품의 유통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6년도에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애완동물 사료의 원료인 밀 글루텐에 멜라민을 첨가한 사례가 있었는데, 이는 단백질 함량의 표기를 높여서 이득을 취하고 져 함이었다. 즉 단백질 함량을 50% 높이고 져 할 때에는 10%의 멜라민만 첨가하여도 가능하다는 보고가 있다.
○ 일반적으로 단백질을 분석하는 켈달분해법은 총 질소량을 측정하여 조단백질로 환산한 값이다. 따라서 비단백질 질소유기화합물도 포함되어 있어서 순수 식품단백질로 표기되는 것은 불합리하다.
○ 그러나 분석법의 허점을 악용하여 아미드의 일종인 멜라민과 같은 물질을 단백질 식품의 원료에 첨가하여 유통시킴으로서 불량 화를 초래한다. 멜라민을 함유한 식품이나 사료를 사람이나 동물이 섭취 하였을 경우에는 건강상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가있다.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분석방법의 원칙이 제시되었다. 우선 불량 화를 초래하는 첨가물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런 물질의 정성 및 정량적 측정방법을 모색 하여야한다. 측정방법은 가급적 간편하고, 시간소모가 적으며, 측정치의 재현성이 있어야하고 신뢰성을 갖추어야만 한다.
○ 유제품 가공공장의 실정에 알맞은 방법을 선택하여야한다. Food Chemical Codex에서 발간한 monograph testing standards를 이용할 수 도 있으며, 비단백질 질소를 켈달분해법으로 분석하기 전에 순수단백질로부터 선택적으로 침전시켜 분리제거 하는 방법을 이용 할 수도 있다. 또한 적외선 분광법에 의한 단백질 식품에 존재하는 불량첨가물을 양적, 질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 저자
- JEFFREY C. MOORE, MARKUS LIPP, and JAMES C. GRIFFITH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1
- 권(호)
- 65(2)
- 잡지명
- Food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6~50
- 분석자
- 장*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