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발생에서 Hedgehog 신호체계의 역할
- 전문가 제언
-
○ Hedgehog(고슴도치)는 초파리발생에서 돌연변이체 애벌레가 짤막하고 털이 난 고슴도치 모양을 한데서 붙여진 유전자의 이름이다. 1970년대 말, Christiane Nusslein-Volhard와 Eric Wieschaus는 초파리 몸체 분절화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 연구로 1995년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수정란의 단일세포가 어떻게 복잡한 몸체를 형성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발생생물학의 가장 근본적 문제이다.
○ Hedgehog(Hh) 신호체계는 동물발생에서 초파리로부터 사람에 이르기까지 잘 보존된 중요한 조절인자 중 하나이다. 이 신호경로는 세포 간의 신호분자로 작용하는 리간드인 Hh 단백질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Hh family 멤버들은 다양한 발생과정에서 세포의 운명과 증식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Hh 신호체계는 또 성체에서도 중요한 작용을 한다. 포유동물에서 Hh는 다양한 조직(조혈세포, 유선, 신경세포 등)에서 성체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한다. 성체줄기세포는 성체의 도처에 분포된 미분화세포로서 죽어가는 세포를 계속 보충하고 손상 받은 조직을 재생한다. 성체줄기세포는 백혈병 등의 치료에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배아줄기세포와는 달리 성체줄기세포는 환자한테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Hh 경로의 활성화는 뇌, 폐, 유선, 전립선, 피부, 췌장 등을 포함하는 여러 기관에서 종양발생에 연관되어 있다. 피부의 기저세포암종(BCC)은 Hh 신호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암이다. 이 경로의 비정상 활성이 성체줄기세포를 암줄기세포로 전환하여 암을 발생시킨다고 생각된다.
○ Hh 경로의 성분을 표적으로 하는 항암치료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G-protein-연결 막 수용체 Smo(원 종양유전자)를 조정하는 요법이다. Smo의 억제제와 작용제가 알려져 있는데, Genentech-Curis에서 개발한 Smo 억제제 GDC0499가 임상시험에서 결과를 보이고 있다.
- 저자
- Barakat, M, T,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16
- 잡지명
- Trends in Molecular Medic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37~348
- 분석자
- 강*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