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트래킹 시스템의 배터리 전력향상 기술

전문가 제언
○ 배터리의 고 효율화 및 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고성능 MCU(Micro Controller Unit)를 이용한 고속의 계산모드와 낮은 Duty cycle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전력 소모량이 과도할수록 저 전력 배터리 구동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고성능화가 요구된다. 이 기술의 휴대용 트래킹 시스템이 제공하는 전력관리 사이클 타이밍 조절기능을 배터리 전력보존 기술에 적용한다면 이동물체의 위치(경도 및 위도) 데이터 처리에 좀 더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 휴대기기용 충전제어회로 내장형 충전 인터페이스 국내 표준이 2007년 24핀 및 2009 20핀 단말 인터페이스 표준규격으로 개발되어 시장에 적용되고 있다. 아울러 ITU-T 주도의 국제 표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산/학/연 협력을 통해 국내 20핀 충전규격이 L.1000 권고안에 반영된 바 있다. 향후에는 Micro-USB 충전단자의 국제 표준화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여 표준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휴대형 전자기기의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배터리 충전기의 수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절감기능이 소비자와 환경적 영향 모두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특히 2008년 충전기기의 대기전력 손실에 대한 EuP 가이드라인(EC의 경제적/환경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활동)이 공식적으로 발표되면서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아울러 충전장치가 필요 없는 무선충전기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이에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국내 핵심기술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 전 세계 무선충전기 출하량은 2010년 360만대에서 연평균 133.4%의 고속성장을 지속하여 2014년에는 2억3,49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10년부터 본격 개발되고 있는 무선충전기 시장은 향후 5년간 스마트폰/디지털카메라/PMP/모바일PC 등 전 방위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무선충전 시스템 기술은 PCB(인쇄회로기판) 설계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고 제조원가를 낮추어 먼저 단말기 종류별로 호환 가능한 범용 무선충전기를 개발하여 시장진입을 시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저자
LOCATION BASED TECHNOLOGIES,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WO20100118173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7
분석자
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