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교차 플랫폼 앱 생성 기술

전문가 제언
○ 최근 다양한 스마트 폰이 출시되면서 유저들은 단일기종에서 복합적인 앱 및 웹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융합플랫폼을 가진 단말기나 플랫폼 소프트웨어에 의한 모바일서비스를 원하고 있다. 개발자 입장에서도 기종마다 다른 서비스 앱을 개발 및 버전 업 하기에는 노력과 투자가 중복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 개방형 교차 플랫폼을 이용하여 휴대폰, PC, IPTV, 인터넷전화, 모바일 인터넷기기 등 이종의 OS와 플랫폼으로 동종 콘텐츠 및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동종 OS와 플랫폼으로 이종의 웹 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콘텐츠, 게임 등을 단말 구분 없이 이용 할 수 있다. 단말 제한의 불편이 사라지고,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간 및 비용을 절감 가능하며 이종 사업간 사업 가치를 부가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융합 혹은 복합적, 혹은 호환성 있는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콘텐츠 및 서비스 지원 기술, 단말 플랫폼 및 솔루션 지원 기술, 인터페이스 기술, 네트워크 지원 기술의 호환성 확보와 표준화 반영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 모바일 플랫폼 및 솔루션 기반 서비스 앱 및 요소기술 표준화 단체인 OMA(개방 모바일 연합)의 단말관리 규정과 각 기능의 발전 형태, 회원사들의 개발전략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차세대 모바일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플랫폼 기술표준 동향에 대한 연구를 심층화 ,가속화 하여야 한다.

○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윈도우 폰 등의 플랫폼 배틀은 3강4약으로 압축되지만 크로스플랫폼의 구현과정에 따라 경쟁구도가 복잡해질 수 있다. 단말 업체, 통신업체, 콘텐츠 서비스업체들의 진검 승부는 UX에 기반을 둔 UI와 콘텐츠 개발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시장이 기술만 가지고 되는 것은 아니지만 최신기술동향을 최소한 답습하면서 협력대상을 탐색해야 할 것이다. 웹 앱 콘텐츠 및 관련기술과 플랫폼개발에 대한 국내 중소기업의 분발을 기대한다.
저자
OPEN KERNEL LABS,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1
권(호)
WO20110041556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6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