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만화책 보기 모바일플랫폼

전문가 제언
○ 모바일기기로 만화를 보는 개념은 전자책이나 전자신문을 보는 개념과 유사하다. 전자책 전용 단말기와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에 의한 신문전용 구독 단말기가 활용범위를 넓혀가고 있고 서비스 단말의 업그레이드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태블릿, e-잉크 디스플레이 기술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모바일기기 및 스마트 폼 및 패드 류가 융합 서비스 플랫폼의 경계를 둔화시키고 있다.

○ 이러한 기기나 기술이 시장을 변화시키는 선제적 요소가 될지는 아직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 본고의 기술과 같은 모바일기기의 서비스 조작기술만으로 만화책 시장과 사용자 욕구 충족여부를 판단하기엔 미흡하다. 엔터테인먼트의 콘텐츠 경계가 모호해지는 가운데 사업화 모델은 기술과 콘텐츠가 융합된 통합플랫폼과 표준화 기술개발과 적용여부에 비중이 주어질 것이다.

○ 2011년 한국의 스마트 폰 보급률이 인구구성비 기준에서 50%를 상회할 예정이고 이는 세계 평균보다도 1년정도 앞선다는 전망이 있을 정도로 모바일 빅뱅이 전개되고 있다. 전자책(만화책)도 태블릿 기반의 전용기기 및 플랫폼의 기득권이 있겠지만 스마트 폼 및 패드 류의 통합이나 융합 플랫폼을 전제로 한 개방성 앱과 웹 솔루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 만화책을 볼 수 있는 스크린이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에서 전자출판 표준(EPUB)과 디지털저작물관리(DRM)가 이슈화 되어왔고 출판사, 유통업체, 저작권자 간의 파이와 역할론 정립은 여러 주장이 있었으나 구매개념에서 탈피 라이선스 개념으로 전환이 확실해져야 한다. 전자책 관련 해외 유통사의 움직임과 클라우드 서비스 및 HTML5 표준에 의한 웹브라우저 적용개념을 주시하고 비즈니스모델을 다변화 할 시기이다.

○ 본고와 같은 플랫폼의 서비스기술은 사용자 경험의 반응에 의한 솔루션 개발로 수준을 향상시키고 저작권 침해대처, DRM 이외의 대안, 소셜 DRM 연구, 다양한 뷰어와 앱 개발, 콘텐츠 개방시장관련 웹사이트 개발 등 비용 대 효과가 큰 역발상의 BM 생성이 필요하다.
저자
IVERSE MEDIA, LL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1
권(호)
WO20110017465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8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