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절삭용 초경공구에 사용되는 텅스텐 대체기술
- 전문가 제언
-
○ 고정도의 가공기술은 산업전반(기계, 항공및 우주, 자동차, 전자분야 등)에 걸쳐서 가장 중요한 바탕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문에 고성능의 절삭공구 즉 팁, 드릴, 엔드밀 등의 공구재료의 기계적, 화화적, 물리적 성질을 개선 및 개량시키는 고품질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 공구재료는 지금까지 고속도공구강(high speed tool steel, 하이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바, 이에는 다량의 W, Cr, Mo, V, Co 등의 원소가 함유되어 있어 고온경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뛰어나 어느 정도의 인성이 있으므로 공구뿐만 아니라 냉간, 열간 가공용의 공구에도 널리 이용된다.
○ W계는 SKM2 (0.8C-18W-4Cr-1V)가 대표적이며, 희귀해지고 고가인 W이 18%나 많이 함유되어 있어 W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기술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되야 한다고 생각된다.
○ 일본정부에서는 공구재료에 사용되는 W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희소금속 대체재료 개발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산업기술종합연구소에서 미세한 TiC입자를 만드는 기술로서 기계적합금화법(MA)을 응용한 Cermet 제조기술을 개발하였다. 이외에 TiC-Ni계 Cermet, Fe-Al금속간화합물을 결합상으로 하고 경질입자로 붕소화티타늄(TiB)분말을 사용한 Cermet 개발 등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 우리 정부에서도 향후 관련기관인 한국기계연구원 재료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차세대 공구재료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여 산업전반의 기술력향상에 이바지되도록 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 저자
- Kobay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1
- 권(호)
- 81(2)
- 잡지명
- 金屬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31~135
- 분석자
- 김*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