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초해상처리 기술의 최신동향
- 전문가 제언
-
○ 박형 평판 디스플레이, 전자종이 등 디바이스의 개발, 고품질 컬러 이미징 기술의 발전 등에 따라 심미적이고 현실감 있는 영상처리 기술이 끊임없이 개발되어 왔다. 영상은 인간의 시각과 깊은 관계를 갖고 있으며, 영상처리에 있어서 시각특성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은 NIP(Non Impact Printer), 정보 디스플레이 기술 등을 기반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영상의 색재현처리, 영상의 계조재현처리, 영상의 국소공간처리 등은 영상처리 기술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 일본에서는 2007~2009년(3년간) ‘정보 대항해 프로젝트’를 추진한 바 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동영상을 포함한 다양한 영상, 방송, 기상정보 등 편리한 정보를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이 이 프로젝트의 기반기술로 활용된 것이다.
○ 최근 영상처리 기술 분야에서 초해상처리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화면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그 밖의 분야에서도 이에 대한 잠재적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초해상처리 기술은 복수 프레임을 이용한 초해상처리, 입력영상 프레임 1매를 이용한 초해상처리 등으로 분류되어 개발되고 있다. 앞으로 이 기술의 개발 방향성은 재구성형 기법과 사례 중심형 기법의 융합기술 등이 개발될 것으로 전망된다.
○ 우리나라는 의료영상 기술, 3D TV 등의 개발에 의해 초해상처리 기술이 상당한 수준으로 개발된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지금까지 정보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개발은 하드웨어 성능을 좋게 하는 연구에 치중하였으나 앞으로는 감성 화질을 좋게 하는 연구도 심도 있게 체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Masatoshi Okutomi, et 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93(8)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93~698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