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과학에서 지식생산 프로세스 연구-일본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한 기초적 조사-

전문가 제언
○ 소개하는 연구는 일본의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Policy(NISTEP) 및 Hitotsubashi University Institute of Innovation Research(IIR)의 공동연구팀이 일본 소재기관 소속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과학에서 지식창조과정 및 과학지식으로부터 이노베이션의 창출과정을 조사한 것이다. 서지정보에 의한 조사의 한계를 의식하고, 일본은 물론 세계적으로 없던 실증적 연구를 의도한 이 연구는, 피인용도 상위 1%의 논문산출 프로젝트와 기타 무작위추출논문 산출프로젝트 등의 저자들을 대상으로 그 연구프로젝트들의 이력을 조사하였다.

○ 조사내용은 연구동기(이른바 Pasteur's quadrant적 분류-원리추구냐 문제해결이냐-)로부터, 불확실성과 의외성(serendipity), 경쟁의식, 연구관리(목표설정과 유연성, 팀과 커뮤니티 형성, 규모와 다양성)의 영향, 인재의 다양성(비저자인 협력자·참가자, 유·무형 후원제공 저자, 다국적· 다재능· 공동 및 협동 주체 등의 융합 등), Post Doc과 대학원 후기생의 중요도, 연구자금의 복합, 연구의 성과 및 혁신 효과(논문, 학위양성, 특허, 라이선스, 표준, 기술지도, 수탁·공동연구, 창업), 연구부산물(material, D/B 등 도구) 등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요소들이다.

○ 과학 하는 수준의 향상과 고도의 과학기술 능력을 기반으로 혁신을 제고하는 것이 중차대한 과제인 시점에서 이러한 실증적 연구결과는 중요한 정책 자료가 된다. 더욱이 이 보고서를 기초로 서지데이터나 인용데이터와도 조합해서 여기에 나타난 사실의 배경적 기전이나 원인을 규명하는 분석을 추가적으로 보완 한다면 더욱 그러하다. 이 연구에 병행하여 Georgia공과대학 등의 협조를 받아 미국에 대한 조사연구를 곧 마치는 것으로 되어 있다는 점도 우리에게 크게 시사한다.

○ 이 연구내용에도 언급되어 있듯이 일본은 이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여러 나라를 연구경쟁상대로 인식하게 되었고, 우리나라도 과거에 앞이 짐작되는 추격연구에서 이제는 앞을 찾는 개척연구시대에 임한 상황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유력하다. 이러한 과학기술연구 패러다임의 변화 요구에 대응 또는 부응하려면 이 조사연구와 같은 실증적인 조사 분석을 행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저자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NISTEP), Hitotsubashi University Institute of Innovation Research (II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0
권(호)
,,(,)
잡지명
NISTEP Report No. 191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133
분석자
송*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