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 연구개발 관리와 기업 성장: 중단평형 모델
- 전문가 제언
-
○ 이 연구의 목적은 연구개발 지출변동과 기업성장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1997년부터 2006년까지 11,000여개에 이르는 생산기업/년의 불균형 패널로부터의 재무데이터를 사용한 이 분석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연구개발 지출변동이 높을수록 기업성장이 높아진다는 상관성을 나타낸다. 이 관계는 기업다각화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며 또한 소규모 기업들과 느린 클록속도의 산업에 있는 기업들에서는 부의 상관성이 발견되었다.
○ ‘중단평형설’ 또는 ‘단속평형설'은 종의 진화는 변화가 없는 장기의 안정기와 그 존속기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고 급속한 종분화로 형태변화에 따라 특징화한다는 가설이다. 이 ‘중단평형설’을 원용하여 기업의 외부환경은 오랜 산업안정 기간 사이에 극심한 변화의 기간이 드문드문 나타나며 이는 높은 성과를 내는 기업들은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 탐색과 활용을 실천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개발 경비 변동성이 적극적 연구개발 관리가 있음을 나타내고 기업이 활용으로부터 탐색에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전환을 계속한다는 증거라고 상정했다.
○ 안정기 동안에 기업은 기존역량을 이용한다. 이러한 안정기는 격변의 기간에 의해 중단되며 그동안에 기업은 새로운 상황에 대해 처리하는 방법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중단평형 틀은 기업이 안정기 동안의 활용으로부터 변환기간 동안의 탐색으로 옮아간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기업은 저조한 연구개발 활동기간과 왕성한 연구개발 활동기간 사이에서 이행(Transition)하고 있다.
○ 연구개발 관리나 연구개발비에 관한 연구는 외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오랜 기간에 걸쳐 활발히 연구되어 온 분야이다. 그러나 장기간 연구개발 비용에서의 변화를 평가한 경우는 상대적으로 드물었다. 앞으로 이에 대한 종단적 연구가 많이 나와야겠다. 또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기업의 다각화 정도, 규모, 클록속도 등에 의해 차별화되는 각 기업군의 성장전략에 대한 실제적 연구가 뒤따를 것이 요망된다.
- 저자
- Ram Mudambi, Tim Swif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1
- 권(호)
- 40
- 잡지명
- Research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429~440
- 분석자
- 김*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