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선진 교통관제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최근 자동차에는 다양한 첨단 주행안전장치가 장착되어 출시되고 있다. 자동차 주행 안전장치는 운전자가 주행 중에 발생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판단하고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운전자의 부담을 줄이고 운전자의 능력저하를 방지하며, 위급한 경우에는 차량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 자동차 주행안전시스템은 과거 20여 년간 계속 발전되어 왔다. 초기에는 개인 수동안전장치인 시트벨트, 에어백, 무릎 보호 장치 등이 인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 계속적으로 발전되어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탑승자와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충돌 감지, 경고, 완화시스템을 포함한 차선이탈 경고장치, 졸음운전 경고 장치와 같은 능동적 안전시스템으로 발전되었다.
○ 교통관제시스템에 의한 능동 안전운전 지원시스템은 교통정보 제공시스템에 의해 전국의 교통정보를 제공하며, 차량 정보 통신시스템에 의해 정보제공 서비스와 디지털 지도와 간이도형을 사용하여 정체, 소요시간, 규제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공공차량 우선 시스템, 현장급행지원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안전운전 지원시스템과 프로브 정보 활용시스템이 지원될 예정이다.
○ 미래의 자동차 주행안전시스템은 수동·능동 안전시스템이 통합된 협조 형 시스템으로 개발되고 있다. 능동안전에 의해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술은 사고예방의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기술의 개발과 개선을 위하여 사고통계와 사고사례 분석, 운전행동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능동안전 시스템의 목표성능을 결정하여야 한다.
○ 능동 안전운전시스템은 교통사고 발생 환경에서 운전자가 취하는 행동을 분석하고 시스템에서 정확하게 운전자를 지원하여 사고의 방지가 가능한지에 대한 평가와 효과를 예측하는 기술로 광범위한 시스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현실에 입각한 교통관제시스템의 개발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술과 시스템의 상용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 저자
- Hiroshi Mori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1
- 권(호)
- 65(2)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2~28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