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를 이용한 조력발전 잠재력 평가 - 미국 Georgia주의 경우
- 전문가 제언
-
○ 세계적인 에너지 수요 증가를 충족하기 위한 에너지 공급의 증가는 자원 고갈과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심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세계 각국은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고 있다. 특히 재생에너지의 하나인 해양에너지(조력, 파력 등)는 막대한 자원 잠재력과 청정성 때문에 주목받고 있는 에너지원이다.
○ 조력발전은 바다에 설치된 수문을 통해 밀물 때 바닷물이 쏟아져 들어오면서 터빈을 돌려 발전하고 썰물 때는 터빈의 날개가 반대 방향으로 돌면서 다시 발전하게 된다. 원리적으로 수력발전과 비슷하지만 수력발전의 낙차가 수십m인데 비해 조력발전은 낙차가 보통 10m 이하라는 점이 다르다. 또한 민물이 아니라 바닷물을 이용하여 발전하기 때문에 장비에 대한 세심한 설계와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 조력발전의 장점은, 1) 재생에너지이고 빠른 시간에 전력 생산이 가능하며, 2) 환경오염이 거의 없고, 3) 타 발전원에 비해 운전비용이 적게 든다는 점이다. 단점은, 1) 초기투자비용이 많이 들고, 2) 연속 가동할 수 없으며(밀물과 썰물의 중간시간대에는 가동할 수 없음), 3) 갯벌을 잠식하므로 생태계를 손상하고, 4) 해수면의 낙차가 큰 곳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부지 선정에 제약이 있다는 점 등이다.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시화호 조력발전소가 건설 중에 있으며 인천만, 강화도,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등이 계획 중에 있다. 조력발전의 부지는 조력 잠재력, 환경영향평가 및 사회경제적 인자 등을 평가하여 선정해야 하는데 광범위한 해양지역을 대상으로 평가해야 하기 때문에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GIS는 컴퓨터 그래픽 중 벡터 그래픽과 래스터(raster) 그래픽을 동일한 수평적 지상 좌표체계와 수직적 다중 층면체계로 통합시키는 강력한 시스템이다. 본 자료는 GIS를 이용한 조력발전 부지의 평가방법 연구결과와 실제 적용한 사례를 기술하고 있어 국내 관련 분야에서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Zafer Defne, KevinA.Haas,HermannM.Fritz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1
- 권(호)
- 15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310~2321
- 분석자
- 김*홍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