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을 이용한 대용량 광통신 시스템

전문가 제언
○ 광 전송망(OTN)은 IP 기반 데이터 및 광전송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으로 ITU-T의 권고 G.872와 G.709에 기초를 두고 있다. OTN 계위는 디지털계위와 광학계위로 구성된다. 디지털계위는 OTUk(Optical Transport Unit k, k=1,2,3)로 정의되며 2.5Gbps, 10Gbps, 40Gbps를 가지며, 광학계위는 광채널 계층(Optical Channel:OCh), 광다중 계층(Optical Multiplex Section : OMS) 및 광 전송 계층(Optical Transmission Section: OTS)으로 구성된다.

○ 2000년대 초 인터넷 트래픽 폭증(후에 인터넷 Bubble로 판명됨) 상황을 놓고 통신사업자들은 네트워크 용량 위기(Network Capacity Crises)에 빠져들었다. 그 당시 용량 위기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해준 기술이 바로 현재 광전송기술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광전송방식이었다. 현재 WDM 광전송 기술은 10 Gbps급의 Tributary Signal을 1024개 광파장에 다중화 시켜 보내는 방식으로 1 Tera bps급의 전송 속도를 확보하였다.

○ 그러나 WDM광전송 방식은 FWM(Four Wave Mixing)현상으로 인하여 Tributury Signal을 40Gbps로 올리는데 한계가 있고, WDM 광파장 개수를 1024개에서 2048개로 증가시키는데도 발광 소자나 수광 소자와 같은 부품기술의 한계로 제한을 받고 있다.

○ 따라서 궁극적인 광전송방식은 광원이 넓은 수10 Tera Hz 주파수 대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코히런트(Coherent)광통신 방식으로 발전해나가야 한다. 이 코히런트광통신 기술에 광파장을 다수 사용하는 Multi Carrier방식과 결합하면 대역폭이 엄청나게 증가하여 향후 네트워크상에서 대역폭으로 인한 문제는 거의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아직까지는 소자나 소재 기술에서 한계가 있지만, 언젠가는 돌파구가 마련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 광전송 기술에 관련된 소자/소재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 노력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저자
Yutaka MIYAMOTO, Itsuro MORI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1
권(호)
94(2)
잡지명
電子情報通信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72~78
분석자
김*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