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오도 강화 계란의 장기섭취가 인슐린 분비지수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계란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소 함량을 좌우하는 주요한 요인은 사료적 요인에 의한 닭의 영양 상태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료적 변화에 현저하게 반응을 나타내는 것은 다수의 미량 광물질, 비타민, 불포화지방산 등이다. 특수란의 특수성분 함량은 다양한 분포로 함유되며 특히 요오드 강화란은 일반 란과 비교해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낸다.
○요오드는 우리몸의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의 중요성분으로 1일 섭취필요량은 약 0.1mg이다. 산란계를 위해서도 필요한 영양소이며 사료 1kg당 0.3mg이 배합되고 보통 달걀의 요오드 함량은 0.2mg/100g이하이다. 현재 시판 요오드 강화란은 달걀 1개당 약 0.8mg의 요오드를 함유하고 보통 고(高)콜레스테롤, 피부염, 성인병(당뇨), 알레르기등의 질환에 효과가 있다.
○해조(海藻)등을 많이 함유한 고(高) 요오드 함유사료에 의하여 사육시킨 닭에서 채란한 계란은 요오드 강화란 이라하고 지질이상개선작용, 항 알레르기작용을 갖는 것을 경험적 실험적으로 확인되였고 특히 요오드 강화란의 장기섭취에 따른 당 부하시험에 미치는 인슈린 분비지수 및 혈당치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도 임상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사전의 당 부하시험의 검토로 인슈린 분비지수 0.4 이하의 피검자에 요오드 강화란 섭취군은 유의적으로 인슈린 분비지수의 개선이 확인 되었고 더욱이 요오드 강화란 섭취에 의해 당부하 후 혈당의 상승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요오드 강화란 섭취 피험자 에서는 인슈린 분비지수의 개선작용이 인정되고 요오드 강화란에는 적어도 초기 인슈린 분비반응성을 개선시키는 작용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그리고 특수란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 저하를 막을수 있도록 앞으로 이에 대한 관리 및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YOKOYAMA Jir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52(9)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1~26
- 분석자
- 이*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