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의 양과 질, 그리고 2형 당뇨병 발생위험과의 관계
- 전문가 제언
-
○ 농경사회에서는 단순한 생산 활동이어서 신체적 활동이 크지만 정신적 스트레스가 적어 수면장애, 2형 당뇨병 발병위험이 매우 낮았다. 현재 및 미래 사회에서는 신체적 활동이 줄어들고 정신적 스트레스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신체적 활동을 높이기 위해 제한된 짧은 시간동안 효율적으로 운동 효과를 내는 운동처방을 개발해야 한다.
○ 수면 장애는 교감신경을 만성적으로 활성화시킨다. 이 활성화된 교감신경은 식욕증진, 비만, 인슐린저항을 유발할 뿐 아니라 심혈관질환, 신장염 위험을 높인다. 특히 가임여성이 이런 수면장애를 치료치 않고 방치하면 임신하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수면장애 크기 정도가 임신장애 크기를 예측할 수 있어서 임신가능성 크기의 예측자료로 활용하게 된다.
○ 식이요법으로 체중을 감소하거나 반복적 운동을 하면 교감신경을 억제한다. 이 두 가지를 병행하면 그 억제효과가 추가적인지 확인한 결과 추가적이지 못했다. 추가적인 효과를 얻으려면 먼저 복부비만을 줄여야 교감신경을 억제해 배고픔을 극복할 수 있게 한 후에 운동을 해야 추가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뇌하수체 전 엽이 크게 커진 거대 종으로 인해 수면 무호흡증을 가진 환자들이 많다. 이들 환자들은 낮에도 혼수, 혼용상태를 자주 갖고, 심한 코골이, 수면 중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 증상을 보인다. 이들의 공통적 특징은 공기흡입장애다. 이 외에도 다양한 원인들이 밝혀졌다. 해부학적 이상, 세포성 결함으로 발생한 수면장애는 운동 등 생활양식 개선, 식이요법만으로 치료가 안 되기 때문에 바로 전문 의사들에게 진찰을 받고 수술, 약물치료 등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 저자
- Francesco P. Cappuccio, et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33(2)
- 잡지명
- Diabetes Car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14~420
- 분석자
- 윤*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