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의 고원과 평야의 자연적 및 인공적 용식 함몰지
- 전문가 제언
-
○ 카르스트는 괴상의 용해되기 쉬운 석회암이 지하수에 의한 굴착화작용(또는 공동화작용)을 받아 형성된다. 이 용어는 원래 유고슬라비아의 달마치야 연안을 따라 나타나는 석회암 지대인 카르스트 지역에만 적용되는 용어였지만, 현재는 의미가 확장되어 이와 비슷한 특성이 나타나는 모든 지역에 적용된다. 카르스트의 발달을 촉진하는 조건들은 지표 부근에서 절리가 잘 발달하고 밀도가 큰 석회암의 존재, 중간 또는 많은 양의 강수, 활발한 지하수의 순환 등이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과거 해성층인 고생대 지층지역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카르스트 지형은 북한의 경우, 황해남북도와 평안남북도 지역, 남한의 경우 문경, 단양, 제천, 영월, 평창, 정선, 삼척, 명주 및 강릉으로 이어지는 지역에 고생대 캄브리아기에서 오르도비스기 사이의 석회암층이 대규모로 분포한다.
○ 석회암(탄산칼슘)은 자연 상태에서 많이 나타나는 약산성을 띠는 물에서 비교적 쉽게 용해된다. 강수는 수평 또는 수직한 균열을 따라 스며들며 석회암을 용해시켜 용존 상태로 운반한다. 물이 열극을 따라 지하로 흐르게 되면, 열극은 계속해서 확장되고 깊어져 동굴 계나 수직방향의 좁은 수갱으로 연결되는 지하하천의 수로를 형성한다. 동굴이 충분히 커져서 동굴 천장이 지표면 가까이까지 확장되면, 천장이 붕괴한다. 이를 싱크 홀이라 한다.
○ 카르스트의 지표면에는 넓은 지역에 걸쳐 하천이 전혀 존재하지 않기도 한다. 실제로 비가 많이 내리는 일부 카르스트 지역에서는 모든 강수가 지하로 완전히 스며들기 때문에, 가정용수조차 찾기 힘든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석회암은 용해도와 불용성 성분의 함량비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일부 카르스트 지역의 지표면에서도 경작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 고체물질의 제거 및 광산과 관련된 붕괴, 암염 제거, 석탄 채굴, 유체제거로 인한 지반침하(유체제거로 인한 침하/인간의 활동에 의해 지하의 유체(지하수, 석유, 천연가스, 염수, 수증기와 물의 혼합체)가 추출되면 공극수에 의한 지지압력이 제거되고 compaction에 의해서 싱크 홀이 발생된다. 국내에서는 과거 광산개발에 의한 광물 채굴적 및 갱도들이 과도한 양수로 인하여 지반이 침하되는 현상들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지반의 안전을 위하여 지하수의 체계적인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Ugur Dogan, Mutlu Yilmaz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40
- 잡지명
-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96~508
- 분석자
- 조*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