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층 습기차단성 폴리락트산 필름

전문가 제언
○ 본 발명은 생분해성의 폴리락트산(PLA)을 무정형 PLA층(실런트 층)/결정성 PLA층(코어 층)/무정형 PLA층/PVA계 고분자 가교(가교제 Polycup172, Hercules사,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도포층/Al 증착층으로 가공한 것으로 PLA 층과 Al층 사이에 생분해성 PVA 고분자를 도포, 가교하고 그 위에 Al을 증착하여 습기차단성을 강화한 것이다. 습기차단 층으로 PLA 층과 Al 증착층과 밀착성이 있고 습기도 차단하는 극성/비극성의 블록공중합체나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압출 피복하고 그 위에 Al을 증착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 실시 예에 언급된 Hercules사의Polycup172는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으로 PVA, 카르복시화 SBR, CMC, 전분의 가교제로 쓰인다. 폴리락트산은 보통의 실온환경에서는 거의 분해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 후 퇴비 또는 토양 중의 수분과 온도가 적당한 환경에 놓이면 가수분해가 촉진되고 그 후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진행하여 최후에는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한다.

○ 바이오매스 자원을 주원료로 하는 고분자재료 중에서 곡물류의 전분의 발효로 얻어지는 락트산으로 합성되는 폴리락트산은 기존의 플라스틱에 가까운 역학물성을 나타내며 석유계 플라스틱의 대체재료로서 공업생산 되는 바이오플라스틱이다. 문제점은 고가, 물성 및 기능 면에서 결정성이 커서 유연성이 부족하고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낮은 것이 과제이다. 폴리락트산의 최대 메이커는 미국의 Cargill-Dow사이다.

○ 폴리락트산은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낮아 석유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식물에서 출발한 케나프 섬유 등을 복합하여 내열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활발하다. 기초연구에서는 폴리락트산의 결정구조 및 분자구조에 근거한 특성 개선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필름에서 습기차단성은 PE를 쓰나 생분해성이 아니며 EVOH는 산소차단성은 우수하나 습기차단성은 불량하며 본 발명에서는 EVOH를 가교하여 폴리비닐알코올 부분의 생분해성을 유지하면서 습기차단성을 개선하였다.
저자
Toray Plastics(America),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1
권(호)
WO20110038248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8
분석자
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