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마트그리드의 신뢰성 전망

전문가 제언
○ 세계의 발전 시스템이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 변화되는 과정은 많은 문제점의 해결을 요구한다. 주된 재생에너지의 특징이 간헐적이라는 문제와 이들이 던지는 그리드 안정도 문제이다. 재생에너지를 그리드에 더 많이 연결하면 품질 기준에 맞는 전력을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일은 더욱 어려워진다.

- EU에서는 2020년 재생에너지를 20% 이상 쓰도록 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2020년 목표가 34% 이상이다. 동 시점에 중국은 15%가 비화석연료에서 전력을 얻는 것으로 목표가 설정되어 있다. 어떤 지역에서는 재생에너지 비율이 높아지면서 이미 문제가 발생하여 더 이상의 재생에너지를 그리드에 연결하지 못하는 곳도 생기고 있다. 특히 계통 전압이 낮아질 때 그리드에서 분리되는 곳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저전압관통(LVRT) 기능이 요구되기도 한다. 재생에너지에서는 무효전력 공급 능력이 없다는 것도 문제이다.

○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에 대처하기 위하여 덴마크는 2007년, 스페인은 2006년, 독일은 2009년 엄격한 기준을 제정하였으며, 미국과 중국은 새로운 기준을 2011년 등장시키려고 준비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FERC (Federal Energy Regulatory Commission), CERTS(Consortium for Electric Reliability Technology Solutions) 등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가 그리드 신뢰도에 끼치는 영향을 검토, 평가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때맞춰 대책을 세우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2009년 12월 「전력계통신뢰도 및 전기품질유지기준」및「송전용 전기설비시설기준에 관한 고시」를 개정 고시(고시 제2009-280호) 하였는데, 이에 따르면 2010년 7월 1일부터는 한전이 정한 신재생발전기 적정 계통연계기준에 따라 발전설비를 운영해야 하며, 2011년 12월 4일부터는 신재생발전기를 운영할 때 인근계통 고장 시 순시전압 저하에도 연계운전을 유지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춰야 한다.

저자
Moslehi, Khosrow &#59; Kumar, Ranji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1(1)
잡지명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57~64
분석자
황*룡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