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지속 가능한 도로수송을 위한 에너지정책과 과제

전문가 제언
○ 1980년대에 시장경제로 전환한 중국은 1990년대부터 급속한 경제 성장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급속한 경제 성장은 에너지 소비량을 급증시켰으며 그동안의 석유수출국에서 1993년부터는 석유수입국이 되었다. 특히 자동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수송부문의 에너지 수요 급증은 에너지안보와 이산화탄소 감축 측면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의 해결이 국가적인 과제가 되고 있다.

○ 중국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에너지안보와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에너지효율 개선과 에너지 절약, 석탄 소비량 감소와 재생에너지 개발,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대책 등을 강도 높게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아직까지 선진국에 비해 총 에너지 소비량에서 차지하는 수송부문의 비율이 낮다.

○ 현재 중국은 에너지 소비량의 2/3 이상을 석탄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화석연료 중심의 수송부문 에너지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수송부문의 에너지구조 개선에는 새로운 기술 확보와 보급 및 인프라 구축에 따른 막대한 비용 조달이 문제가 되고 있다. 중국은 우선적으로 차량의 연비 개선, 에너지 절약 등을 실시할 계획이며 새로운 기술과 대체연료의 도입 및 관련 인프라 구축은 장기적이 과제로 다루고 있다.

○ 우리나라는 산업부문의 에너지효율이 비교적 높아 중국과는 사정이 다르다. 그러나 차량을 생산하여 수출하고 있는 국가로서 중국의 수송부문 에너지 현황을 파악하여 정책에 반영할 필요성이 높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의 수송부문 에너지 현황과 문제점 및 장래 동향을 요약하고 있는 본 자료는 큰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또한 중국은 수송부문의 연료 수급을 위해 막대한 양의 천연가스를 수입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10개 이상의 천연가스 터미널을 건설하고 있고 가스 보급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분야에도 우리나라의 기술이 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Xiaojun Hu, Shiyan Chang, Jingjie Li, Yining Qi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5
잡지명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289~4301
분석자
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