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x-선 CT를 이용하는 감도가 강화된 폴리머 겔 선량계

전문가 제언
○ 폴리머 겔 선량측정의 궁극적 목표는 입체 조형 방사선치료, 세기 조절 방사선치료와 같은 3D 방사선 선량 분포를 검증하는 것이다. 겔 선량측정의 주요 과제는 방사선 치료의 3D 선량 검증 요구에 대해 공간적 및 선량 정확도를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획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황금 표준으로 적용될 수 있는 별다른 실험적 3D 선량계가 없기 때문에 공간적 및 선량 정확도 둘 모두에 대한 측정을 규정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겔 선량계가 3D 선량계로서 역할을 하려면 안정성, 공간 완전성, 온도 비민감성, 선량율 및 에너지 비의존성 그리고 조직 등가성 같은 특이한 선량측정 요구를 완수해야만 한다.

○ 모의 치료계획으로 계산한 선량지도와 겔 영상에 의한 선량지도 사이에 약간의 공간적 불일치가 존재한다는 것을 선량차이 지도에서 볼 수 있다. 공간적 상호관계는 향후 더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겔 선량계의 선량분포 분석은 주로 MRI를 이용하였으며 국내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MRI는 우수한 공간적 분해능을 갖고 있지만 긴 영상 획득 시간, 영상의 이질성, 횡 이완시간의 온도 민감성은 실제 임상에서 불리한 조건이다. CT를 이용한 겔 영상은 적은 비용과 소요시간이 적다. 또한 대부분의 임상에 CT 촬영장치가 보급되어 있으므로 접근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 겔 영상에서 MRI와 비교할 때 CT 영상의 단점인 낮은 대조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은 새로운 잠재력을 가진 가교결합물질을 찾던지 또는 겔에서 가교결합물질의 용해성을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 CT 영상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부족한 신호 대 잡음비이다. 이것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노이즈를 감소시켜야 한다. 관전압과 관전류는 노이즈와 가장 큰 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이들 조건에 따른 선량계의 반응 및 민감도를 찾는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이다.
저자
A Jirase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55
잡지명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269~5281
분석자
유*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