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란의 변천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Fortran이 1950년도 초기에 과학 연산용 고급 언어로 고안되어 1954년에 최초로 공개되어 현재에 이르기 까지 어떻게 변천 하였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Fortran의 변천 이정표를 보면 1957년 FORTRAN I에서 DO 또는 DIMENSION 명령의 추가로 프로그래밍 언어로서의 틀을 가추기 시작했다.
○ 계속해서 다음해 FORTRAN II, III에서 SUBROUTINE과 FUNCTION을 추가하고 1961년 FORTRAN IV에서 LOGICAL 변수의 개념이 도입된다. 그 후 1978년 FORTRAN 77에서는 IMPLICIT, INCLUDE등에 대응한다. 이러한 이정표는 고급 언어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과정인데 다른 형태의 변화도 있었다.
○ 1966년 FORTAN 66의 규격 통일은 소프트웨어의 자산화를 가능하게 한 원동력이며 2004년에 Fortran 2003에서 객체 지향을 수용한 것은 시대 추세에 적응한 것이다. C 언어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자구 과정을 통해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나 Fortran의 가장 큰 장점은 수식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최근에 미국 정부의 슈퍼 컴퓨터 보급 정책에 의거하여 미국과 일본에서 Fortran이 다시 부흥했으나 현재는 슈퍼 컴퓨터의 기능을 가진 프로세서가 보편화 되어서 사정이 달라졌으나 50여년의 기술 축적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현재 다중 프로세서 환경에 따르는 병렬 프로그래밍, 또한 이에 수반되는 크러스터 시스템 및 벡터 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프랫트폼에 Fortran은 기존의 대응책을 토대로 하여 어떻게 개발 도구로서의 역할을 가질 것인가가 Fortran 생존의 관건이라고 생각한다.
○ 언어로서의 변천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이를 국내 현황과 연관하기는 힘드나 1950년 말에 KIST의 설립과 이에 따른 CDC 기계 도입 및 후에 여기에서 파생한 SERI의 슈퍼 컴퓨터를 통해서 약간의 Fortan 보급이 되었으나 미국과 일본과는 달리 예산상의 문제로 이러한 대형 컴퓨터의 수가 극소수에 한정되어 많은 연구성 프로젝트의 수행이 불가능하여 Fortan의 국내 확산을 저지했다.
- 저자
- Ippei Kuros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93(1)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7~11
- 분석자
- 김*창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