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레이저를 이용한 경금속재료 용접기술의 최전선
- 전문가 제언
-
○ 용접용 레이저로서는 45KW급의 CO2 레이저, 30KW급의 향상된 빔 품질과 낮은 BPP(Beam Parameter Product)값을 갖는 Nd:YAG레이저, 30%의 높은 에너지효율을 갖는 파이버 레이저나 디스크 레이저가 등장하여 고능률이며, 용접변형을 최소화하는 구조물 조립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 현재 레이저의 응용비율을 보면 CO2레이저 68%, Nd:YAG레이저 23%로 이들 두 레이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에너지 변환효율이 높고 빔 품질이 우수한 파이버레이저나 디스크레이저가 금후 큰 비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 디스크레이저는 그 개발 역사가 비교적 짧아 응용분야가 많지 않으나 긴 초점거리의 광학계를 사용할 수 있어서 가공물이나 특정 광학계의 이동 없이 원격가공이 가능하며 스폿직경이 작아서 정밀가공도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고휘도화, 고출력이 가능하며 발진기의 구조상 반사광에 의한 소손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자동차, 조선 산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그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 최근 들어 구조물이나 부품의 경량화가 크게 요구되고 있어 지금까지 용접에 어려움이 있었던 마그네슘합금이나 철강재료와 경량의 알루미늄합금 또는 마그네슘합금과의 이종재 접합이 매우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 해설논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디스크레이저에 의한 알루미늄합금의 용접, 철강소재와 알루미늄과의 이종재 접합, 마그네슘합금의 용접에 관한 내용은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
○ 최근 국내에서는 디스크레이저 용접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초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용접은 고속, 정밀, 철강재료와 비철재료의 이종재 접합에 매우 큰 장점을 갖고 있으므로 향후 빠른 시일 내에 국내 관련업체(예, 자동차회사)에서도 국제 경쟁력을 갖춘 첨단 디스크레이저 용접기술의 정착이 요구되고 있다.
- 저자
- Shigeki Saito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48(11)
- 잡지명
- 輕金屬溶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19~423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