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코넥신: 세포 주기의 감지와 조절 역할

전문가 제언
○ 대부부의 연구자들은 코넥신 관련 신호와 세포증식이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사실 코넥신과 이들 채널은 3가지 단계의 통신으로 세포의 증식을 조정한다. GJIC(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가 이웃 세포 간에 세포 성장 조정자의 교환을 유도하고, 세포 외에서는 코넥신 반채널이 항상성 조정 단백질의 방출을 허용하고, 세포 내에서는 코넥신 단백질이 직간접으로 세포 주기 조정자의 생산에 영향을 주며, 이런 물질과 가역으로 작용하여 세포 신호의 저장소 역할을 한다.

○ 근래 파넥신(pannexins) 역시 항상성 균형의 조정자로 간주되었고 채널에 영향을 줄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간극연접과 코넥신/파넥신 단백질의 작용은 세포증식을 억제하고, 반면 반채널은 세포주기를 촉진한다. 코넥신/파넥신의 집합체는 차등 조절 작용을 하고, 예로서 Cx42의 인산화를 들 수가 있다. 많은 코넥신 결합 단백질이 계속하여 발견되는데 이들이 코넥신/파넥신 체널을 조정하는 역할을 할 것이며, 앞으로 암 세포의 성장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 코넥신에 대한 miRNA 관련 연구가 앞으로 가치가 있을 것이고, 더욱 내부적으로 세포주기와 관련하여 코넥신 단백질이 어떻게 작용하고 조정이 되는지 좀 더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런 연구를 하는 데 다른 채널 모양과 구성성분의 참여 형태에 따라서 세포 증식이 조절될 수 있는데, 이런 실험 방법의 고안이 절실히 필요하다. 간극연접의 억제제에 대한 연구에서 카베녹소린은 코넥신과 파넥신 채널을 억제하고, 코넥신 모방 펩티드는 특히 코넥신 반채널을 억제한다. 이런 펩티드를 개발하여 세포 주기에서 코넥신 관련 신호와 관련된 기작을 밝힐 수 있다.

○ 국내에서도 Cx43의 인산화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배아줄기세포의 이동과 증식에 관한 연구와 식물에 있는 항산화 물질이 GJIC를 억제하여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을 밝혀 암 예방에 적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저자
Vinke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1815
잡지명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3~25
분석자
정*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