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R1에 의한 유전자 조절: 세포의 항상성과 암에서 역할
- 전문가 제언
-
○ 근래에 여러 암에서 핵 기질 관련/골격 단백질이 관련되어 있다는 증거가 많아지고, 여러 핵 기질 관련 단백질을 찾고 성격을 규명하는데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 이런 단백질은 암의 예후 표적과 치료 용으로 시용할 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여기서는 핵 기질 관련 단백질인 SMAR1을 이해하고 그것의 주된 생리적 기능을 요약하고자 한다.
○ SMAR1은 두 개의 주된 세포 항상성 규제자인 p53와 NF-kB의 기능적 활동을 조절할 수가 있다. 암에서 p53의 돌연변이가 50% 이상으로 나타나고, NF-kB의 비정상 활동은 암세포의 생존, 전이와 혈관형성을 촉진한다. 유방암에서 SMAR1의 기능 회복은 p53를 활성화하고 NF-kB의 비정상 활동을 막아 준다. 약의 저항성과 독성을 줄이고 p53와 NF-kB를 표적으로 복합 치료가 부각되고 있다. 암에서 SMAR1을 활성화나 안정화 하는 분자를 찾고, 임상에 적용할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 유방암에서 SMAR1의 량이 현저히 적고, 그것의 발현이 암의 진행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그래서 SMAR1이 예후를 표시하는 후보가 될 수가 있을 것이다. SMAR의 규제 부위에 돌연변이를 찾으면 이것이 발암 억제 유전자가 될 것이다. 다른 암에서 SMAR1의 항암 작용 막 밝히고 있는 중이다.
○ 염색질 재구성 단백질은 대부분 세포의 신호 통로와 연관되어 있다. 암에서 SMAR1의 전사 규제 망과 관련된 목표 유전자를 찾는 연구가 필요하다. 유전자 일부분의 서열 연구에서, miRNA는 SMAR1에 의한 세포의 성장, 분화와 전이에 영향을 준다. 이런 분자 표적과 신호 통로는 약을 개발하는데 선행되어야 한다. 이런 연구의 토대 위에 복합 약을 개발하여 임상에 적용 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 SMAR1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인도의 Pune 대학, Chattopadhyay 교수 연구실에서 발표가 되었다. 국내에서는 아직 SMAR1에 대한 연구 실적
이 없어 시작이 되지 않은 것 같아 좋은 연구과제가 될 수가 있다.
- 저자
- Maloni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1815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12
- 분석자
- 정*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