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화수의 종합 병충해 관리
- 전문가 제언
-
○ 산업의 발달로 인한 도시의 급팽창은 대기오염과 소음공해, 열섬현상 등 많은 심각한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또한 황폐화된 자연환경은 도시민의 건전한 정서생활을 저해하고 있어 녹화운동을 통해서 정서생활의 순화, 생태계의 보호 등을 꾀하고 있는데 식목과 육림을 위주로 한 녹화수의 절대 가치에 주목하게 되었다.
○ 이를 위한 옥상녹화와 공원, 가로수, 벽면녹화 등을 위주로 녹화수의 관리가 중요하게 대두되었는데, 매연을 비롯한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한 피해 그리고 각종 병해충에 의한 폐해 등에 대한 대책이 점차 비중이 커지고 있다.
○ 일본은 녹화수 센터를 설치 운영하여 병해충의 발생에 대한 생태적 환경적 요인을 밝히고 기존 천적류의 활용 등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반을 두고 피해의 회피와 자연친화적 방제기술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녹화수 관리의 핵심은 종합병해충관리(IPM)로서 각종 방제수단을 사용하되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시켜 병해충을 낮은 밀도로 관리하는 개념으로 살충제 남용에 대한 오염 등 폐해를 줄이고 유도다발생(resurgence) 현상을 막기 위함이다.
○ 우리 농촌진흥청에서도 병해충 예찰 정보시스템을 운영하여 병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보, 주의보, 경보 등을 발령하는 제도를 펴고 있다.
○ 특히 국가간 이동이 빈번해지면서 병해충도 함께 이동 유입되고 있어서 국제적인 정보교환과 공조체제의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
- 저자
- Hiroshi TANAK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54(3)
- 잡지명
- 生活衛生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04~212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