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Carbapenem 및 Penem계 항균약과 Valproic Acid

전문가 제언
○ Valproic acid는 간질과 같은 형태에 의해 일어나는 발작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양극성 조증이나 편두통 치료에도 사용된다. 그러나 Valproic acid는 메스꺼움, 구토, 위통, 황달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이는 간손상의 전조가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특히 2세 이하의 어린이에게는 가장 위험하다.

○ 더욱이 Valproic Acid는 심각한 발작장애나 정신지체 등으로 이미 다른 약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게 병용하는 경우 간이나 췌장손상의 위험이 크다. 이 때문에 가장 넓은 항균스펙트럼과 세균의 β-Lactamase에 대한 저항력을 가진 Carbapenem계 항생제의 병용에 따른 Valproic Acid와의 상호작용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Carbapenem계 항생제는 Valproic Acid의 장내 수송체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이며 쥐의 실험에서는 Imipenem존재 하에서 경구투여한 Valproic Acid의 흡수가 약 57% 감소하였다는 보고도 있다. Carba- penem과 Valproic Acid의 정맥투여 후 Valproic Acid 혈장내 농도는 떨어졌으나 총 혈액내 농도는 변화가 없었다.

○ 이는 적혈구막에 있는 ABC(ATP Binding Cassete)수송체의 MRP(Multi drug Resistance Protein)가 Carbapenem에 의해 억제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들 약제의 병용은 피해야 하지만 다른 항생제선택의 여지가 없을 경우에는 Valproic Acid의 농도를 자주 모니터해야 하며 혈청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투여량을 증가시켜야 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그러나 Valproic Acid뿐만 아니라 Carbapenem 등 모든 약제는 고유한 부작용이 있으며 이들 약제의 병용은 보다 심각한 합병증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여량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보다 심각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아직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일천하다. 따라서 약제의 구조변화 등을 통해 부작용을 줄이면서 약효를 유지하는 새로운 약제의 개발에 국내 연구진의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Hisak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61(8)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822~2828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