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축학 교육의 지속성: 이란과 호주의 비교

전문가 제언
○ 지난 몇 십년간 지속가능한 재생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대하여 21세기의 필요성을 요구하는 신재생에너지 교육의 새로운 연구가 등장하였다. 신재생에너지 문제를 교육과정에 포함되지 않았던 종래의 건축교육과 달리 요즈음은 신재생에너지 교육이 건축규범 내에서 그 독자성을 가지고 있다. 본고는 지속적인 건축 개발의 교육적 장애를 설명하고 있다.

○ 사회적 요구변화에 따라 건축교육도 변화해야 한다. 건축교육에 대한 가치관, 넓게는 교육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건축설계교육도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국내에서도 오래전부터 이루어져 왔으나, 실질적인 변화 사례는 드물다. 국내 대학에서도 확고한 교육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위한 교수방법을 구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12% 달성을 목표로 정부의 그린에너지 녹색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대형 건설사들은 경쟁적으로 바이오가스 플랜트 등 친환경 건축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제로 에너지 하우스’를 목표로 하는 한 대형 건설사는 태양광 블라인드 창호, 바이오가스 발전시스템, 태양광 집채광 시스템 등 그린 주거 상품을 개발 중에 있다. 바이오가스 플랜트는 상당한 양의 석탄, 석유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에너지원이다.

○ 국내 한 연구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녹색건축이 활성화되면 원유 수입 대체효과와 탄소 배출 저감 등을 통해 연간 2조5000억 원에 달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녹색건축이 활성화되려면 개인주택을 포함한 재건축, 리모델링 등 모든 건축물에 기준을 적용하고 주택대출과 같은 금융지원과 녹색건축 보유 세 경감 등의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녹색건설은 신재생·청정에너지, 친환경기술, IT기술 등을 도입해 환경오염 저감, 에너지효율성 향상, 온실가스 저감을 실현으로 녹색건설은 환경 복원, 주거·상업용 건축, 도로·항만, 원자력 등의 발전시설 등 다양한 건설 분야가 적용 가능하다.
저자
Mohammad Taleghan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1
권(호)
36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021~2025
분석자
한*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