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체와 단백질체 검출을 위한 형광표지 나노입자
- 전문가 제언
-
○ 단백질체와 유전체의 생화학분석에서 검출을 위한 생화학적 화합물의 표지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동위원소 검출, 효소-결합 발색단/형광단, 화학발광과 생물발광 같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생화학분석 기술에서 적절한 표지가 필요하다. 이들 중 특히 형광표지가 단백질체와 유전체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최근 개발된 형광 양자 점과 금 나노입자 같은 다양한 형태, 크기와 조성을 가진 나노입자가 형광 측정에 의한 생화학분석 기술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나노입자의 사용은 고전적인 분자 색소 형광단의 많은 화학/분광학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나노입자-바이오분자 접합체의 제조와 활용기술의 진보에 따라 바이오-접합된 NPs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또한 근적외선 영역에서 흡수/발광하는 NPs의 개발로 광학적 방법에 의한 심부 조직의 실시간 영상 기술의 개발도 가능하게 되었다.
○ QDs의 생화학적 활용에서, 특히 인체에 사용하는 경우 나노입자 코어로부터 용해될 수 있는 화학성분의 독성이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절한 무독성 매트릭스로 캡슐화 하거나 표면을 폴리머 층으로 변환하는 연구들과 독성이 낮은 탄소 점과 금 나노입자, 또는 도핑한 실리카 나노입자들의 독성과 생체적합성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과학원 생물과학과, 생명공학연구소, 아주대학교, 한국식품연구원 등에서 양자 점과 금 나노입자의 FRET를 활용한 다중분석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과학기술원의 김학승 팀이 유리판 위에서 양자 점과 금 나노입자 사이의 에너지 전이 측정에 의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다중분석시스템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 저자
- Ana Maria Coto-Garcia, Emma Sotelo-Gonzalez, Maria Teresa Fernandez-Arguelles, Rosario Pereiro, Jose M. Costa-Fernandez, Alfredo Sanz-Mede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1
- 권(호)
- 399
- 잡지명
-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9~42
- 분석자
- 엄*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