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빌딩의 전과정 평가(LCA)

전문가 제언
○ 다양한 생산물(상품과 서비스)에 필요한 인간의 활동에서 환경적인 영향을 조사하고 평가하는 지속가능한 방법과 도구가 필요하다. 환경영향은 토지 사용과 같은 고안과 마찬가지로 대기 방출과 소비된 자원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지역에서 빌딩의 어느 수명주기 단계에서 그리고 어떤 형태의 빌딩이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온실가스를 배출하는지 LCA를 이용하여 검토하는 것이다.

○ 정부는 그린 홈 활성화를 통해 주택 차별화와 함께 국내 에너지 소비 감축을 기대하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2008년 현재 국내 에너지 총 소비량의 25%는 빌딩, 아파트 등 건축물에서 소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54%는 가정용 주택이 소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린홈이 정착될 경우 가정용 주택 에너지 총 소비량의 20~30%를 감축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추산이다.

○ 건물의 에너지소비를 줄여 건물주에게 경제적인 이익을 주고 높은 비용으로 건축물을 업그레이드하지 않아도 되는 에너지 예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빌딩에서의 설비는 경년열화에 의한 기대수명 저하 및 성능 저하 외에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성능 유지 및 관리를 위하여 효율적인 건물 에너지 관리가 필수적이다.

○ 실제 빌딩 설비시스템에 대한 감시와 점검, 성능 및 고장과 열화진단, 에너지 사용량 관리 등이 관리자의 임무였던 것이 관리자의 전문성 부족과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빌딩 관리가 되도록 최근 들어 에너지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 지금까지의 국내 건설 사업은 자원 및 에너지 효율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으나 향후에는 건축의 전 과정에 걸쳐 자원 및 에너지 절감형 건축 시스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국가에너지의 40%가 투입되는 건축 관련 산업부분의 에너지 절감과 유효 이용은 현시점에서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저자
Aashish Shar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15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71~875
분석자
한*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