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신약과 질병중재를 위한 유일한 전망의 우폐충(牛肺蟲) 통찰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 폐에 기생하는 Dictyocaulus viviparus(우폐충)은 소 기관지염을 유발하여, 온대지방에서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우리는 우선 이 폐충에 관한 유용한 전사체 데이터를 대규모로 탐색하고, 상이한 단계와 성 간의 전사 차이를 시험하고, 기초대사 경로와 연관된 중요분자를 동정하고 서열화 하였는데, 이는 새로운 신약 목표 가능성을 나타낸다.

○ 우폐충 3기 유충(L3s)에서 암수성충까지 454 시퀀싱에 의해 생성된 대략 300만 발현 시퀀스태그가 정리, 주해되었다. 이들 시퀀스 집합은 ~61,000 콘틱을 생산하였는데, 비교적 큰 부분은 콜라겐(4.3%), 유비퀴틴(2.1%),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아제(1.9%)를 코드화한 것이다.

○ 인실리코 차감분석에서 동정된 6928 뉴클레오티드 시퀀스는 L3에서 독특하게 전사되고, 5203, 7889 전사체는 각각 암수성충에 독점적이다. 개념적 번역에서 대부분의 예상 펩티드는 뉴클레오플라스민(L3),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아제(암컷), 주요 정자단백질(수컷)이었다. 추가적 분석은 3개 약제 목표 후보자를 예상케 하는데, 그들의 예쁜꼬마선충 상동체는 치사 RNA 간섭 표현형과 연관되어 있다. 미래 전 발육단계의 우폐충 전사체 시퀀싱과 함께, 이 상세한 탐색은 게놈 시퀀싱과 더불어 이 기생선충의 분자생물학 연구를 쉽게 할 것이다. 이 진보는 생물공학 성과에 집중한 신약과 목표백신 발견을 지원할 것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우폐충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오래전에 ‘소의 폐충증에 관한 연구; 우폐증 감염실태조사(농진청, 1977)’가 보고되었으나, 본 리뷰와는 거리가 멀다. 이는 우리나라 축산 규모가 작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고로 축산업보다는 생물공학적인 접근으로 우폐충을 이용한 백신개발 연구는 전망이 밝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Cinzia Cantacess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29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61~271
분석자
김*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