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온성 액체: 바이오반응 기술의 응용과 미래 전망

전문가 제언
○ 20세기에 등장하여 크게 번영하고 있능 IT, BT 및 NT에 이어서 GT(green technology)가 21세기 과학기술을 선도할 것이 확실하다. 인류가 화석연료를 무분별하게 사용한 결과 나타나기 시작한 지구의 온난화로 각 국 정부기 저탄소 녹색기술에 눈을 돌리게 되면서 이 분야에 대한 제도적, 제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고, 우리나라도 여기에 동참하고 있는 실정이다.

○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모든 물질들은 예외없이 화학적 프로세스를 겨쳐서 제조된 것들이다. 이러한 제조과정에는 거의 예외 없이 막대한 양의 유기용매 등이 사용되고 폐기 되는데, 이렇게 제품 생산과정에서 폐기되는 환경 유해물질들의 양은 화석연료에 의한 지구 온난화보다 더 심각하게 지구를 오염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대부분의 일반 사람들은 모르고 있는 실정이다.

○ 20세기 말 미국을 중심으로 화학반응을 원자경제적으로 전환시켜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녹색화학이 화학자들의 중요한 관심사로 등장하게 되었고, 결국 ‘녹색화학 12 원칙’이 제정되어 유기합성 분야를 중심으로 화학분응의 녹색화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녹색화학의 가장 핵심적 요소는 용매의 녹색화이고, 녹생용매 후보물질 중 가장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으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글리세롤 및 이온성 액체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글은 불란서 Universit? de Rennes의 Guillermo Quijano 그룹이 바이오화학 분야에 응용되는 이온성 액체의 최근 연구동향과 미래 전망을 풍부한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조사해서 작성한 리뷰논문을 필자가 간단하게 요약한 것이다.

○ 우리나라는 정부차원에서 녹색성장을 국가의 미래 비전으로 제시해서 이를 강력하게 지원하고 있지만, 실제 연구활동은 아직 미미한 수준으로, 지난 10여년 동안 발표된 녹색화학 논문 1,000여 편 중 우리나라 기관에서 발표한 논문은 5편 정도에 불과하다는 점은 화학자들이 심각하게 고민해야할 사안이라고 판단된다.
저자
Guillermo Quijano, Annabelle Couvert, Abdeltif Amran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101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923~8930
분석자
이*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