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수담수화 공정에서의 새로운 기술과 신재생에너지 이용

전문가 제언

○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기상이변 발생빈도가 많아지고 강수량도 변화가 심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자원 관리가 어려워지고, 환경오염까지 겹치게 되면서 물 부족이 되는 나라가 늘어나고 있다. OECD는 2030년이면 인류의 반이 넘는 39억명이 물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고 있다. 우리나라도 UN이 규정한 물 부족 국가이다. 2006년 우리나라의 일인당 가용 수자원은 1,512m3이어서, UN이 규정한 물 부족국가(1,000m3~1,700m3) 의 범주에 들어간다.

○ 2005년의 전 세계 담수화 설비 시장의 규모는 50억달러 규모이었다. 이 시장이 2016년이면 170억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세계적으로 물 부족이 예상되는 만큼 우리도 기술개발과 시장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 담수화 기술은 기존의 증발법에서 R/O방식으로 바뀌는 추세이다. 새로 짓고 있는 담수화 설비의 59%는 R/O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막 이용 담수화 공정을 채택하고 있다. 향후에는 석유와 같은 화석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R/O방식을 대체하여 에너지를 더 적게 사용하는 새로운 기술개발이 나올 것이다. 미래의 새로운 기술로서 나서고 있는 기술이 본 원고에서 언급하고 있는 Forward osmosis방식, 이온농도 분극화 기술, 축전식 탈염기술 등이다.

○ 이러한 새로운 기술 상용화와 아울러서, 지금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R/O방식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해수와 담수를 분리할 수 있는 막 재료의 기술도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저자
Arun Subramani, Mohammad Badruzzaman, Joan Oppenheimer, Joseph G. Jacangel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45
잡지명
Water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907~1920
분석자
길*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