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Beta-catenin 신호경로와 간 재생 및 간암 발생

전문가 제언
○ 사람의 성체에서 간은 유일하게 재생을 잘하는 기관으로 수술이나 약물로 상해를 받은 후에도 재생에 필요한 신호의 협동으로 최적의 조건을 갖추어 가는 것으로 본다. 실험실이나 임상에서도 간세포가 증식이 가능하고 전구세포의 확장과 반복으로 재생과 분화한 세포 군집을 확대한다. 이러한 경로에는 Wnt/β-catenin 신호가 작동하고 있으며 이 신호는 재생의 초기에 활성화되어 Wnt 경로의 주역을 맡고 있는 β-catenin이 표적단백질 발현의 신호로 작동하여 세포주기와 재생과정에 참여한다.

○ Wnt/-catenin 신호가 이과정의 조정자로 역할을 하는 것은 마우스를 비롯해서 물고기, 사람에서도 확인되었으며 최근에는 β-catenin의 과발현과 외인성의 Wnt-1이 동물모델에서 간 재생을 촉진하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β-catenin이 간 타원형세포의 활성과 분화에 관여한다는 보고와 간세포암에서 Wnt/β-catenin의 이상신호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신호의 분자기능의 유지와 이상은 β-catenin유전자의 돌연변이에서 오거나 아니면 β-catenin을 분해하는 지지체 단백질, AXIN1/2의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 간에서 β-catenin의 돌연변이나 과다발현 만으로는 암을 생성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며 β-catenin의 상실이 다른 기전을 통해서 암 생성물질을 초진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간의 상해와 부전에서와 같이 간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간 재생이 필요한 병태에서 대부분의 간세포암이 나타나고 있어 이 과정에서 재생에 필요한 좋은 신호와 나쁜 신호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상과 병리상태에서 신호체계의 이해는 대단히 중요하며 간세포암에서 β-catenin신호가 재생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검토로 이러한 기전이 하나하나 밝혀지면 치료에도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Kari Nichole Nejak-Bowen, Satdarshan P.S. Monga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21
잡지명
Seminars in Cancer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4~58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