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높은 변형속도 영역에서 응력-변형곡선의 측정기술

전문가 제언
○ 철강재료의 응력­변형곡선과 변형응력은 변형속도, 시험온도 등에 의해 크게 변화한다. 변형응력의 변형속도의존성은 자동차의 충돌과 지진 등 재료의 고속변형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와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이와 같은 영향을 고려하여 변형응력의 계산방법은 재료개발과 재료설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 자동차의 충돌시 재료가 받는 변형속도는 102~103s­1인데 일반적으로 103s­1 이하의 소성변형은 전위 운동의 열활성화 과정에 의해 주로 지배된다. 따라서 열활성화 과정에 의거한 응력­변형곡선의 계산 모델인 KM 모델(Kocks-Mecking Model)을 이용하면 변형속도가 변형응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효과적이다.

○ 자동차에 사용되는 재료의 경량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낮은 변형속도 영역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높은 변형속도 영역의 데이터까지 포함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초고층 건축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골구조물의 기둥­보강재 용접이음부를 포함한 철강부재의 변형과 파괴거동은 하중속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용접열영향부는 모재나 용착금속에 비해 충격인성이 낮기 때문에 지진과 같은 대하중을 고속도로 받으면 용접이음부가 취성파단되기 쉽다. 따라서 높은 변형상태에서도 용접이음부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고 변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의 개발과 용접시공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
Hiroaki Matsumiy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51(596)
잡지명
塑性と加工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51~855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