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막 소성법에 의한 수동소자 내장 프린트 배선판
- 전문가 제언
-
○ 부품내장기판이란 인덕터, 컨덴서, 저항 등의 수동부품 LSI 등을 내장한 회로기판을 말한다. 이것은 수동부품을 후막 또는 박막화하여 기판 내부에 삽입하는 방법과, 표면 실장용 칩 부품을 그대로 내장하는 방법이 있다.
○ 두 가지 방법 중에서, 표면 실장용 칩 부품을 내장하는 경우는 사용하는 부품의 높이가 있기 때문에 기판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에 후막이나 박막 형태의 소자를 사용하면 기존의 다층기판(MLB)보다 한층 얇은 배선판을 만들 수 있다.
○ 그러나 수동부품을 후막이나 박막으로 만들려면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안정적인 특성을 얻기 어렵다. 또 기판 마다 형성되는 관통구멍(via hole)은 기판을 적층하고 가압하는 과정에서 매우 높은 정밀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각 공정마다 필요한 기술은 매우 다양하고 기술 수준 역시 높다.
○ 이 논문은 수동부품을 인쇄기술을 이용하여 후막 소자화를 시도한 것이다. 여기에서도 특성의 편차를 비중 있게 다루고, 저항 소자의 경우는 트리밍 기법을 사용했으나 대량생산에 적용할 때의 실용성에는 의문이 남는다.
○ 우리나라는 이미 다양한 부품 내장형 프린트 배선기판이 생산되고 있다. 휴대폰의 경우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 폰의 제조회사들은, 기능은 물론이고 단말기 두께와 무게에 큰 비중을 두고 경쟁적으로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따라서 부품 또는 기판의 두께를 낮추는 새로운 기술이 앞으로 계속 발표될 것으로 본다.
- 저자
- Katsumi Miya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23(12)
- 잡지명
- マテリアル インテグレ-ション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9~33
- 분석자
- 허*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