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하수 시스템의 오염기준치 변화 동향

전문가 제언
○ 지하수 폐수처리는 지하수 중에 들어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유해성을 제거함으로써 지하수가 유입되는 하천이나 바다에 미치는 악영향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폐수처리 목표는 각 처리공정에 부여되는 BOD, COD, SS, N, P, 유기 및 무기물질 등을 폐수의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나추는 것이다.

○ 최근 미국의 경우, 지하수 시스템에 가장 많은 문제가 되는 오염은 총 대장균, 질산염 및 비소이고 지하수 시스템은 2009년에 건강에 기초한 모든 위반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총대장균의 MCL(최대 오염물 기준치)는 5% 이하의 시료가 한 달 동안의 대장균 양성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 질산염의 MCL는 10㎎/L이다. MCL를 초과한 질산염을 함유한 물을 마시는 6개월 이하 유아는 심각하게 질병에 걸리고 만일 처리하지 않으면 사망한다. 증상은 숨참과 청색아(blue baby) 증후군이 있다. 비소의 MCL는 0.010㎎/L이다. MCL 이상에 장기 노출로부터 잠재 건강효과는 피부손상 또는 혈액 순환기에 문제 및 암에 걸리는 위험성이 증가한다.

○ 우리나라에서 오염토양, 폐수 및 지하수 관련연구는 10년 전까지만 해도 거의 그 사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미미하였다. 이는 기본적으로 유해 폐기물로 인해 파생되는 제반 위해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매우 낮았고, 지하수 오염이나 토양오염과 관련한 정부 차원의 또는 상업적인 기술수요가 전무하였기 때문이다.

○ 오염 지하수 실태 파악을 위하여 환경부가 2006년에 전국의 오염 우려지역에 설치한 수질측정망 1,602개와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2,380개의 지하수를 분석했다.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모두 144개소(3.7%)가 수질기준을 초과했다. 이 중 발암성 물질로 간장과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이 각각 33곳과 14곳에서 기준치를 초과했다. 참고로, 발암물질인 TCE와 PCE는 공단지역에서 주로 많이 검출된다.
저자
Charles Job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31(1)
잡지명
Ground Water Monitoring & Remedia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0~44
분석자
유*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