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Vibrio fischeri 정착과 바이오필름 형성조절

전문가 제언
○ 박테리아는 향후 장래성이 있는 숙주와 조우하면 보다 명확한 환경에 정착하기 위해 유전자 발현제한 등 각각의 숙주정착 조절과 촉진에 다양한 메커니즘을 적용하고, 발광세균으로 알려진 해양박테리아 Vibrio fischeri와 오징어 숙주 Euprymna scolopes 간 공생은 박테리아가 일시적으로 바이오필름을 형성하여 정착하였다.

○ 미국 Loyola University 메디컬센터 미생물면역학과 Morris 교수 등은 본고를 통하여 V. fischeri 의 정착과정을 비교적 상세히 기술하고 있어 이를 활용하면 각종 어류에서 발생하는 질병과 치료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 박테리아 바이오필름 생산은 공생폴리사카라이드 syp 유전자 좌의 전사를 조절하는 복합 네트워크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더욱이 전사조절의 바이오필름 형성은 파트너전환으로 알려진 조절메커니즘의 SypA와 SypE 단백이 조절하였다.

- 가장 특성을 보이는 Bacillus subtilis와 기타 그람양성 박테리아의 파트너전환은 시그널 메커니즘으로 박테리아 유전자 발현에 역학적인 조절을 제공한다. V. fischeri 내 일시적인 파트너전환성분 연루로 보아 바이오필름 형성의 엄격한 조절은 이 생물 생활양식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 국내에서도 미생물 농약이나 친환경 유기농자재 개발에 Bacillus spp. 등이 주목받는 것도 숙주 식물이나 동물에 서식하면서 생리활성물질 분비를 억제하거나 촉진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본고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그람음성 박테리아의 보다 명확한 메커니즘도 조속히 규명되길 기대한다.
저자
A.R. Morris, K.L. Visic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2(8)
잡지명
Environmental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051~2059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