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튜브 성형기술을 적용한 부품 제작과 재료의 경량화

전문가 제언
○ 소재의 크기나 규격을 말할 때 판재인 경우 일반적으로 플레이트(plate)와 쉬이트(sheet), 봉재는 바(bar) 또는 롯(rod)으로 나타내며 관재는 파이프(pipe)와 튜브(tube)로 말한다. 여기서 파이프는 내경이 큰 것(일반적으로 12mm이상)을 말하며, 튜브는 내경이 소형인 것을 나타낸다.

○ 관재는 내경으로 유체(액체, 기체)를 흘려보내는 것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조선공업, 원자력 산업, 가스 송출 등의 산업 활성도에 따라 제관 및 관 성형공업이 동반 증가 하락하기는 하지만, 관재 관련 산업은 기반기술로 건축 분야에서도 수요가 있어 파이프나 튜브의 성형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 최근 확대 관(expansion pipe)이나 축소 관(reducing pipe)등의 소성변형에 유압을 이용한 하이드로 포밍이나 다이리스 성형기술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경량화와 생산합리화에 있어서는 최적의 가공방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 앞으로 하이드로 포밍 기술에 관한 선진공업국의 관심은 축소되는 추세이지만 중진공업국에서는 많은 관심으로 발전의 여지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선지공업국에서 이미 개발한 기술도 중진공업국이 더욱 발전시켜 선진공업국으로 관재 성형기술이 수출되고 있는 예도 있다.

○ 관재의 성형가공은 소규모 기업에서도 관심과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기술개발이 가능한 분야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지원 하에 연구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세계 틈새시장의 개척과 소성가공의 한 분야로서 크게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Kenichi MANABE and Sadakatsu FUCHIZA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1
권(호)
52(600)
잡지명
塑性と加工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6~41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