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희토류원소의 수급예측

전문가 제언
○ 최근 일본에서는 희토류원소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자성재료로 사용량이 대폭 확대되고 있는 Dy(Dysprosium)를 일예로 일본국내에서의 재고와 흐름을 추계하였다. 그 결과 일본 국내의 Dy소비량은 2020년에는 800톤/년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되며 특히 자동차와 FA기기용도의 Dy소비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 NdFeB계 소결자석은 최대 에너지적((BH)MAX)이 높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의 모터용 자석으로 사용되고 있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 자석의 주상인 Nd2Fe14B화합물의 보자력은 온도계수가 크기 때문에 실온과 고온에서의 높은 보자력이 요구되는 곳에 응용된다.

○ NdFeB소결자석은 보자력 향상을 위하여 중희토류 원소인 Dy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Dy는 희토류 광석 중에 함유량이 낮고 부존자원이 거의 중국에 편재되어 있어 중국의 수출 정책에 따라 가격이 앙등하고 있어 Dy의 사용량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을 서두루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 2009년 기준 중국의 희토류원소 매장량은 전 세계의 36%인 3600만 톤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생산량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2010년에는 전년 대비 수출량을 9%감소시켰고 2011년에는 20%를 감소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그간 생산을 중단하였던 미국은 California에 소재하고 있는 Mountain Pass를 일본의 Hitachi와 공동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강릉 앞바다에서 한국지질광물연구원과 포스코는 해수광산을 올 상반기 중 시작할 예정이다. 중국에서의 수입에만 의존하는 것을 탈피하려 하고 있다. 생산 못지않게 희토류자석의 재활용이나 대체재료 개발도 중요하므로 이 분야에도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저자
Morimoto Shinichirou, Daigo Ichiro, Matsubae Kazuy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1
권(호)
81(2)
잡지명
金屬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17~122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