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차 소재와 건강차의 시장 동향
- 전문가 제언
-
○ 녹차의 기능성은 많이 알려져 있으며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항산화작용, 충치 예방, 항균, 냄새 제거, 항비만,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억제 등의 작용이 연구되고, 녹차 폴리페놀을 이용한 제품 출시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식품뿐만이 아니라 손이나 거주공간 등 환경 항균소재로서도 이용이 추진되고 있다.
○ 가공식품용으로 녹차를 사용할 때 가장 큰 문제점은 퇴색이 일어난다는 점이다. 그러나 최근 퇴색하지 않는 말차나 녹차 페이스트 등이 일본에서 개발되어 그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일부 제품은 우리나라에도 수입되어 사용이 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일본에서는 건강차 시장도 건강의식의 상승과 함께 내식화나 마이 보틀(my bottle) 지향 등에 의한 요구가 늘어나 수요가 신장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2009년 다류 생산현황을 보면(2010년 식품유통연감), 다류가 총 233,313톤이 생산되었고, 이 중 침출차(녹차) 생산량이 3,860톤이고 고형차(녹차)는 539톤이었다. 수출은 침출차(녹차)가 69톤이었고 고형차(녹차)는 단 1톤에 불과하였다.
○ 우리나라에서 녹차라고 하면 소비자들은 바로 티백 현미녹차를 연상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인이 좋아하는 녹차제조방법 연구가 이루어져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야 한다. 더불어 우리나라의 녹차 생산여건이 일본이나 중국보다 불리해 비싸기에 차의 수종 개량 등을 통해 다원의 생산성을 높이고 설비 자동화를 통해 가격의 인하가 필요하다. 또한 판매와 유통구조까지도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이렇게 하여 녹차를 많이 섭취함으로서 그 기능성을 건강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게 되리라 생각된다.
- 저자
- the editorial staff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1
- 권(호)
- 46(2)
- 잡지명
- 食品と開發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6~61
- 분석자
- 백*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