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RFID기술의 건설관리 적용

전문가 제언
○ RFID(무선인식 기술)는 사물에 대한 식별과 추적을 위해 사물에 부착한 전자태그와 리더(reader) 간 데이터 교환을 라디오파로 통신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RFID 시스템은 안테나가 포함된 판독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정보저장 및 처리를 하는 태그, 서버 및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된다. 각 기능에서 판독기는 RFID 태그에 읽기와 쓰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고, 안테나는 정의된 주파수와 프로토콜로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장치로 태그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RFID의 핵심기능을 담당한다.

○ 또한 RFID 태그는 전원공급의 유무에 따라 전원이 필요한 능동형(active)과 판독기에 전자기장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형(passive)으로 구분된다. RFID 기술응용 분야는 교통, 제조, 농업, 보안, 물류, 공급망 관리, 의료 및 건설 분야 등 다양하다.

○ 최근 건설 분야에서 자재관리를 위한 RFID 시스템 도입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데, 정확한 자재정보를 사용하여 건설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건축시간을 단축하고 이를 통해 건설비용의 절감 및 정보 연계를 통한 건설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RFID는 실시간 정보의 가시성과 추적성을 개선함으로써 이런 분야에 커다란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분야에서는 아직 RFID 응용이 본격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있다. 그 이유의 하나는 건설 실무자가 이런 기술의 잠재성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 국내의 경우 바코드를 이용한 건설관리가 일부 수행되어 건설비 절감 등 좋은 성과를 낸 바 있지만, 이보다 우수한 RFID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좋은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다. 성균관대학교 e-CM 연구실 및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건설자재 및 인원관리 관련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또한 RFID를 이용한 공급망 관리 및 현장관리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건설관리에 RFID 기술 적용이 미미하지만 앞으로는 본격적으로 CPM(건설프로젝트 관리)에 적용되어 건설관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Weisheng Lu,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1
권(호)
20
잡지명
Automation in Constr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101~106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