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중해 산불의 토양침식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 총 산림면적은 국토 면적의 약 65%를 차지하는 6,476,030㏊이며 총 임목축적은 248,426,292㎥에 달한다. 산림관리 상태는 산로 등이 확보되지 않아 산불 발생 시 진화에 어려움이 있고 복원기술은 초보 단계라 할 수 있다. 최근 소방방재청은 447억 원을 들여 산불진화가 가능한 다목적 헬기를 도입하여 산불에 대비하고 있다.

○ 국내 대형산불 사례는 2005년 강원도 양양과 고성에서 발생하였다. 이 산불로 피해상황은 이재민 134세대, 산림피해 250㏊, 낙산사 대웅전 및 가옥 160동이 소실되었고 산불 진화에는 헬기 20대, 소방차 16대, 인력 4,294명이 투입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특히 산불 위험이 높은 지역은 동해안으로 소방방재청은 이 지역에 소방헬기를 증강 배치하고 있다.

○ 산불은 토양 및 토양침식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커다란 영향을 일으킨다. 연소에 따른 막대한 가혹성은 여러 가지 이화학적, 광물학적 변화와 토양과 유기물질에 생물학적 변화를 준다. 특히 산불은 유기물질의 부분 및 완전연소와 토양구조의 악화, 다공성의 변화, 벌크 밀도 증가와 증발에 의한 영양물 감소, 재와 연기 층 대류를 일으킨다.

○ 산불로 강물 오염은 여러 미량성분 유입으로 인해 물 공급 저수지와 시냇물 오염도가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미량성분인 Fe, Mn 및 Zn 농도 상승은 맛과 색깔을 변화시키고 파이프와 연결부위를 녹슬게 한다. 그리고 Ba 및 Cu가 고농도로 함유된 물을 계속 마시게 되면 독성 축적이 생기고 As와 Cr은 발암물질 인자로 작용한다.

○ 본고에서는 산불로 일어날 수 있는 유기물질과 영양분의 손실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토양 광물질 손실로 인해서는 황폐화 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토양광물 입자의 보충 없이 짧은 간격으로 토양손실이 반복되면 토양의 물리적 침식을 방지하지 못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토양보호에 극단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저자
R.A. Shakesb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105
잡지명
Earth-Science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1~100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