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 및 바이오디젤 혼합물의 열안정성 검토
- 전문가 제언
-
○ 식물성기름, 지방 그리고 이것으로부터 유도된 바이오디젤은 석유 디젤과는 달리 오랫동안 정장하는 동안 환경 및 기타 요인으로 품질저하를 가져오게 되어 연료의 안정성 및 품질을 의심받게 된다. 본 문헌에서는 서로 다른 조건에서 바이오디젤 및 바이오디젤과 석유디젤의 혼합연료의 열 안정성에 관한 지금까지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 종래의 Rancimat 방법을 포함한 안정성 측정 방법들을 설명하였다. Rancimat 테스트는 측정 장치에 시료를 채운 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면서 일정한 유량의 공기를 통과시키면 시료가 서서히 산화한다. 접촉한 공기를 물에 포집하여 전기전도도를 측정해 산화 정도를 판단한다. 처음에는 전기전도도가 시간에 따라 작게 증가하지만 산화의 정도가 심해지면 급격한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 소요된 시간으로 산화 안정도를 알 수 있다.
○ TGA/DTA 방법은 온도에 의한 오일의 품질 저하를 확인하는데 가장 유용한 방법이다.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 사이의 상관관계는 얻지 못하였다. 문헌에서는 안정성 매개 변수인 온도가 산화방지제에 미치는 효과도 논하였다.
○ 바이오디젤은 보통 식물성기름과 알코올을 촉매 하에, 또는 초임계유체사용방법으로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서 생산한다. 국내에서는 대두유를 많이 이용한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곡물이 아닌 식물자원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국내에서도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국내에서 장래 유망한 미세조류를 원료로 사용하여 만든 바이오디젤에 대하여 생산기술 발전과 더불어 열안정성 연구를 Rancimat 테스트, ASTM D 6408-08, ASTM D 5304-06 그리고 TGA/DTA 등의 열안정성 조사 방법들을 사용하여 꾸준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미세조류바이오디젤과 석유디젤유 혼합이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 저자
- Siddharth Jain, M.P. Shar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1
- 권(호)
- 15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38~448
- 분석자
- 김*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