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녹색화학의 케미컬 수처리

전문가 제언
○ 지구에서 사용가능한 담수자원은 전체 수자원의 0.8%에 불과한 1,100㎦이고,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증산과 산업 고도화로 물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 본고에서도 유엔기구의 데이터로 미루어 볼 때 2020년까지 지금의 담수자원보다 17% 이상의 더 많은 담수자원이 필요하다고 한다.

○ 유엔에서도 한국을 물 부족국가로 분류하고 있지만 생활수준 향상, 구제역과 같은 돌발 상황, 그리고 이상기온으로 이러한 상황이 점차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특히 국내에서는 주요 하천을 수원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폐쇄된 수역이나 흐름이 정체되는 구간에서는 부영양화가 발생해서 사용가능한 담수자원이 감소할 수도 있다.

○ 본고에서는 수돗물 관리를 수원 관리, 정수처리장 관리 및 배수계통 관리로 구분하고 있으며, 특히 정수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염소와 알루미늄에 의한 악영향을 기술하고 있다. 특히 염소소독 과정에서 발생하는 트리할로메탄, 할로아세트산 등의 소독부산물은 발암성을 보유하는 등 공중위생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 염소는 살균효과가 우수하면서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염소를 대체할 약품이 등장하지 않았지만, 본고에서는 오존과 함께 살균력이 우수한 6가의 철 화합물 철산염을 제시하고 있다.

○ 물 처리과정에서 녹색화학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첫째, 유해물질을 발생시키는 화학약품을 배제하거나 사용량을 저감하고 둘째, 미세채널 반응기와 같이 처리효율을 제고하는 시설을 도입해야 한다.
저자
Djamel Ghernaout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271
잡지명
Desalina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0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