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가지 이용자에 대한 지원공학 기술 서비스
- 전문가 제언
-
○ 지원공학(보조공학)은 장애인의 기능적 능력을 유지, 향상시켜 이들의 학습과 사회생활에 도움을 주는 모든 장비 및 기계장치, 더 광범위하게는 서비스와 전략까지 포함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원공학은 정신적, 육체적 장애로 인해 학습과 생활에 어려움을 가진 사람들을 돕기 위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부터 관심이 증대되기 시작하여 2000년대에는 장애인 고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제도적인 뒷받침이 부족한 실정이다.
○ 지원공학(보조공학) 서비스는 장애인과 고령자에게 최적의 보조기기를 착용하게 함으로써 일상적인 편의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독립생활을 이루는 데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므로 대부분의 복지선진국에서는 복지 서비스의 필수 분야로 인식하여 체계적인 전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지원공학 서비스의 보편화를 이끌었다. 바야흐로 지원공학 서비스의 도입기에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국의 경험을 통해 한국적 모델을 정립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하고 사료된다.
○ 지원공학(보조공학) 기기는 장애인에게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IT의 결실이며, 우수한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되는 이 기기는 장애인의 활동범위를 넓혀주고,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새로운 희망을 부여하고 있다. Stephen William Hawking 박사에게 지원공학 기기가 없었다면 장애를 극복하고 교수로서의 삶을 살 수 없었을 것이며, 그가 이룬 블랙홀 증발과 양자우주론과 같이 현대물리학에 혁명적 이론이 될만한 연구 업적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 지원공학(보조공학) 서비스와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아직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의 지원부처 간 상호연계나 조정이 부족하여 낭비적 요소가 많고 서비스의 효율성 또한 저조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좀더 구체적이고 전문화된 지원공학 서비스의 도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책적으로 우리 실정에 맞는 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에 대한 논의가 필수적이라고 사료된다.
- 저자
- Jiroh Yoneza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1
- 권(호)
- 50(1)
- 잡지명
- 計測と制御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55~60
- 분석자
- 석*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