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하고 비슷한 세포를 지원하는 대사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암 조직 중에는 정상조직 줄기세포와 유사한 자가 복제능과 분화능을 가지고 있음으로 적은 수의 종양세포가 발원이 되어 종양조직 전체를 구성하게 된다는 "암 줄기세포설"이 제창되고 있으며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 후의 암 줄기세포가 남아 있는 것이 암의 재발이나 전이 - 침윤 - 파종 등 암의 악성화 진전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올바른 치료방법이 주목받게 된다.
○ 줄기세포의 미분화성을 지원하는 분자기반으로서의 대사통제 시스템에 관해서 특히 최근의 해석이 진행되고 있는 산소 및 활성화된 산소의 종류 그리고 영양시그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산소농도는 세포내 대사를 크게 변화시키는 중요한 인자로서 배양중의 산소농도가 줄기세포 활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암의 발생이나 악성화 진전과정에서 탈분화와 같은 현상이 알려지고 있으며 줄기세포 비슷한 분자신호와 대사과정이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신호와 분자기전을 암에서 파악한다는 것은 관심이 가는 것이나, 줄기세포의 미분화성을 지원하는 대사 통제로서 산소 및 활성산소뿐만 아니라 FoxO나 mTOR을 포함한 영양시그널도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근래에 밝혀지고 있다.
○ 전사인자인 mTOR, Raptor, mLST8/GβL 등에서 이루어지는 단백질복합체인 mTORC1의 활성은 영양시그널에 의해서 통제를 받게 된다. mTORC1은 번역 억제에 작용하는 4E-BP를 억제하게 되며 Ribosome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S6 kinase를 활성화함으로서 세포내의 전체적인 단백질의 번역을 통제하게 된다.
○ 줄기세포 및 암 줄기세포를 둘러싼 대사통제라는 관점에서 암 줄기세포 통제 메커니즘을 폭 넓게 이해하게 된다면, 이와 연관된 암의 발생 메커니즘의 본질의 이해와 줄기세포의 미분화성을 지원하는 대사 통제를 비롯하여 그 외의 통제 메커니즘 등이 규명하게 됨으로서 새로운 암치료법 개발의 중요한 열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Atsushi Hira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30(1)
- 잡지명
- 細胞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7~51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