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강식품의 시장 동향과 소재 및 기술 연구

전문가 제언
○ 고도로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현대사회 속에서, 사람들은 바쁜 시간을 쪼개어 자신의 건강을 챙기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종 건강기능 식품들이 계속 출현되고 있다.

○ 건강식품은 식품 및 식품성분의 건강과의 관련성에 대한 식견으로 판단할 때 어떤 보건효과가 기대되는 식품이어서, 식생활에서 특정의 보건 목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에게 그 섭취에 의하여 그 보건의 목적이 기대되는 취지의 표시가 허가된 식품을 의미한다.

○ 일본의 건강기능 식품 소재 중에서 특히 피부 미용이나 관절대응 상품에 선호되는 소재는, 콜라겐, 히알루론산, 태반(Placenta) 등의 미용계와,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등의 관절계 소재가 최근 수년간 수위(首位)를 지키고 있고, 그동안 시장에 정착된 녹즙, bilberry, Royal jelly 등도 상위품목이고, 최근 신형 독감 시장에서 활성화 된 Propolis도 역시 상위 소재로 자리 잡고 있다

○ 건강식품을 섭취함으로써 건강을 챙기고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누릴 수 있고, 기능성 식품의 종류는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것 이상으로 많고, 웰빙 열풍을 통해서도 수많은 종류의 기능성 식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기능성식품 소재에 있어서만은 미국을 앞선 일본의 건강식품 이용 소재의 사례를 연구하여, 한국도 일본을 앞서 나갈 수 있다는 저력을 보여 주게 될 것을 기대한다.

○ 일본은 건강식품 관리강화로 소비자청 발족, 건강식품의 표시제도, 안전성 제3자 인증제도, 특정상품 취급법, 개정할부판매법 등 건강식품에 관한 환경이 크게 강화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건강식품의 종류와 효능에 있어서 일반인으로서는 갈피를 잡을 수 없을 정도로 난무하고 있는 현실로, 건강식품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보급은 국민건강이라는 차원에서 기능성 식품에 대한 전문적인 검토가 정부와 민간차원에서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Editorial departmen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1
권(호)
46(3)
잡지명
食品と開發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9~69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