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의 등장과 미래 사회
- 전문가 제언
-
○ 미국의 Exel Energy Co.는 Colorado주의 볼더시를 'Smart Grid City'로 만드는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전력과 IT의 융합으로 전력 공급 시스템이 발전소에서 가정에 이르는 일방통행이었다면 Smart Grid City는 양방향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시스템이다.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 정보를 제공해 자동으로 전력 사용 시간과 양을 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태양광 패널, 연료전지, 배터리 시스템, 전기자동차 등과 연계하여 전력 사용 피크 때를 대비해 에너지를 충전된 전기를 재사용하거나 전력망에 되파는 ‘V2G(Vehicle to Grid)' 기술도 적용된다.
○ 'Smart House'는 일본이 미국보다 앞서 있다. 이는 두 나라의 전력 인프라 현황과 방식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전력수급 상황이 좋지 않은 미국에서는 Smart Grid City 예산 할당이 인프라 부문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일본에서는 에너지 자급률 개선, CO2 25% 절감 등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력 이용 효율화를 중시하고 있으며, 미국에 비해 가정과 빌딩에서 전력의 새로운 이용법, 즉 Smart House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 건설업체들도 의욕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Diwa House공업은 Smart House 실증실험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미터기 역할을 수행하는 '홈서버'에는 Java 모듈의 작동을 관리하는 OSGi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커넥티드가전을 제어하는 통신 미들웨어 '주택API'도 개발했다. 이와 더불어 전원 on/off 등 단순한 제어뿐만 아니라 에어컨 온도와 풍량 조절 등을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iPhone 애플리케이션도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Smart House는 전력, 가전, 주택, 전기자동차, 그리고 ICT 업계와 융합이 필요한 큰 잠재성을 내포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주택 건설업체에서도 곧 다가오는 전기자동차 시대와 더불어 Smart House, Smart Phone, Smart Grid 등과 어우러진 Smart Community를 향한 실용화 연구에 열중하고 있으며, 실용화 될 날이 머지않았음을 느끼고 있다.
- 저자
- Toshio Hirota, Masanori Ueda, Toori Futam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1
- 권(호)
- 65(3)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2~18
- 분석자
- 심*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