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쟁력과 시장구조의 지표로서 특허출원의 유효성 규명
- 전문가 제언
-
○ 이글은 “중국경쟁력과 시장구조의 지표로써 특허출원의 유효성 탐구” 주제 하에 서론, 개념적 배경, 중국특허시스템-개관, 가설, 방법론, 실증적 증거 및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글은 실무자들이 특허지표의 유효성에 관하여 불신을 표시하는데 대하여 유념하여 중국특허청에의 특허출원과 중국발명가에 의한 국제출원을 비교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가설1,2,3을 설정하여 의문점에 대한 검증을 한다.
○ 점점 더 많은 연구들이 중국의 국제경쟁력을 평가하는 지표로써 전 세계에의 중국특허 출원이나 중국 국내시장에 관한 혁신활동의 내부구조의 지표로써 중국특허청에의 특허출원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거시적 차원의 연구가 제출될 때마다 많은 실무자들은 이러한 신흥시장에서의 특허지표의 유효성에 관하여 불신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신흥시장에서는 지식재산권 보호가 다른 경제에서의 역할과 크게 다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 그래서 이글은 중국특허청에의 특허출원과 중국발명가에 의한 국제출원 양자의 구조를 비교한다. 더욱이 중국 특허출원활동과 다른 국가의 특허출원활동을 대조한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그러한 의문을 실증할 출원의 상이한 기본적 동기와 논리의 증거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WTO 가입에 뒤이어 중국기술시장은 특수한 균형을 찾고 있으나 어떤 지속적인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대조적으로 중국의 국제출원은 세계 기술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몇 개의 주요기업으로 편향되어 있다.
○ 특허분석 수단에 의한 중국 특허시스템의 특수한 면의 분석은 탐구적 데이터분석에 의하여 선행되어야한다. 중국 특허출원은 이제 과거 10년 과정의 측정의 적절한 지표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2010년 자국 내 특허 출원과 국제출원 건수가 각각 세계4, 5위에 이르는 특허강국이며 특허출원을 혁신활동의 지표로써 인식하고 있다. 중국이 신흥경제국가임과 동시에 세계 제2의 강대국임을 감안하여 중국의 특허출원과 그 동향에 대한 심층분석과 특허에 관한 정보자료에 대한 깊은 주시가 필요하다
- 저자
- Henning Krol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1
- 권(호)
- 33
- 잡지명
- World Patent Inform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23~33
- 분석자
- 고*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