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 라이프 지원을 위한 바이오메카닉스의 전개
- 전문가 제언
-
○ 인간이나 동물의 운동을 역학법칙의 입장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분야가 바로 바이오메카닉스이다. 바이오메카닉스의 관련분야는 해부학, 생리학, 체육학, 의학, 기계공학, 역학 등으로 매우 넓은 범위에 걸친 학문들과의 관련성이 강하다. 따라서 정형외과, 스포츠 의학, 재활에 응용되어 인공관절 등의 각종 인공장기의 연구에 그 이론이 도입되어 왔다.
○ 바이오메카닉스가 당면한 목적 중의 하나는 생체의 기능을 연구하고 그것을 모방하여 생체와 같이 동작하는 기계를 만드는데 있다. 그 결과 종래의 인간이 하던 복잡한 작업을 기계로 대체하거나 인간이 직접 하기에는 너무 가혹한 일 등을 모두 기계로 대체하려고 하고 있다. 또한, 생력화면에서 현재 활용되고 있는 산업용 로봇 및 지능형 로봇은 바이오메카닉스의 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 인간의 다리동작과 같은 기능을 가진 기계가 제작된다면 해저나 월면 조사화 같은 작업에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뱀이나 물고기처럼 몸을 흔들면서 운동하는 연구조 기계는 종전과는 다른 새로운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동물의 보행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는 바이오메카닉스의 주요 연구 분야 중의 하나라고 사료된다.
○ 최근 들어 국내외적으로 학문 간의 융합화가 활발해지고 잇다. 이것은 바이오메카닉스나 생체모방 공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나노 공학 기술의 발전은 자연을 보다 세밀하게 관찰하고 모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도 생물학에서 영감을 얻어 새로운 도전의 장을 열어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이루어 나아가려는 창의적인 바이오메카닉스나 생체모방 공학의 진정한 발전을 이루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Eiichi Tanak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1
- 권(호)
- 50(1)
- 잡지명
- 計測と制御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36~41
- 분석자
- 석*우
- 분석물
-